< > | < > |
김장김치 맛있게 담는법 백종원의 쿠킹로그에서 자료를 가지고 왔습니다. 오늘 글을 보면서 따라 하시면 백종원처럼 맛있는 김장김치 담을 수 있습니다. 자료 참고해서 맛있게 김장 담으시기 바랍니다. 이외에 파김치 레시피, 김장김치 주문 추천 등 자료가 맨 하단에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목차
김장김치 맛있게 담는법
김장김치를 만들려면 아래와 같이 재료를 준비하셔야 됩니다. 아래의 재료를 준비해주셔서 천천히 따라와 주세요.
혹시나 절임배추가 준비되어 있지 않으시다면 절임배추 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레시피가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.
절임배추 간단 레시피
간단하게 만들 수 있는 레시피입니다. 절임배추 만드는 게 부담스러우신 분들은 아래의 절임배추 잘 고르는 방법이 있으니 확인해주세요.
절임배추 고르는 방법
절임배추가 준비되어 있지 않고 절임배추 만드는 게 부담스러우시면 절임배추를 구매하실 때 잘 고르는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
① 절임배추 판매되는 상세페이지를 잘 확인하셔야 됩니다. 절임배추는 1등급, 2등급 배추를 사용한다는 용어는 없습니다. 절임배추는 경매 용어로 특품, 상품, 중품, 보통으로 구별되므로 이점을 확인해주세요.
② 절임배추는 친환경 배추라고 용어를 쓰지 않습니다. 무농약 인증, 유기농 인증과 같은 무농약 배추나 유기농 배추 사용이 맞습니다. 친환경 배추라고 표기된 용어가 있는지 잘 확인해주세요.
③ 절임배추는 1등급 지하 암반수를 사용해 절인 것보다 상수도 물로 헹굼 한 절임배추를 구매하시기를 바랍니다.
1등급 지하 암반수는 과거에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된 사례가 있어 상수도 물이 더 안전합니다.
④ 절임배추는 천일염으로 대부분 배추를 절입니다 하지만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되는 부분이 이슈가 되고 있어 꼭 세척시설이 잘 갖추어진 업체에서 구매하시는 게 좋습니다.
⑤ 김장철에는 중국산 절임배추가 많이 수입되고 있습니다. 특징적으로는 중국산 배추의 경우 겉잎을 떼어내고 수입이 되기 때문에 겉면이 흐린 노란색을 띠고 있으며, 배추의 모양이 대체로 사각형 모양입니다. 중국산 절임배추는 위생관리에 취약하므로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▼ 재료 준비하기
● 절임 배추 10kg~12kg ( 4~6포기)
● 찹쌀가루 100g
● 물 1.5L
● 굵은 고춧가루 750g
● 소고기 다시다 2큰술 (20g)
● MSG 2큰술 (20g)
● 간 마늘 500g
● 새우젓 350g
● 간 생강 25g
● 멸치액젓 500g
● 꽃소금 75g
● 황설탕 200g
● 무 1.5kg
● 쪽파 700g
● 홍갓 500g
● 청갓 700g
● 알타리 무청 6줄기
▼ 양념 만들기
▶ 물 1.5L, 찹쌀가루 100g 넣어서 물에 잘 풀어주세요.(찹쌀이 눋지 않도록 계속 저어주세요.)
▶ 찹쌀이 눋지 않도록 계속 저어주세요.
▶ 소고기 다시마 2큰술 (20g) 넣고 잘 저어주세요. ( TIP : 사골 국물 고깃 국물 넣으면 더 맛있어집니다.)
▶ 위에 만들어놓은 찹쌀풀을 고춧가루 750g 통에 넣고 잘 섞어주세요.
▶ 마지막으로 MSG 2큰술(20g) 넣어서 섞어주세요.
▼ 속재료 만들기
▶ 무를 채 치기 좋은 크기로 잘라주세요. (목장갑 끼고 해 주세요,)
▶ 꽃소금 75g , 멸치 액젓 500g 넣어주세요.
▶ 새우젓 350g 넣어서 간을 맞춰주세요. ( 새우젓 외에 다른 젓갈 사용 가능 명란젓만 제외 )
짜다고 느낄 정도이면 됩니다.
▶ 쪽파, 갓, 무청을 준비해주세요.
▶ 쪽파, 갓, 무청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주세요.
▶ 바로 위에 절인 무채를 채소와 섞어주세요.
▶ 그다음에 불린 고춧가루도 재료와 섞은 뒤에 다진 마늘 500g, 다진 생강 25g, 설탕 200g, 넣어주세요.
▶ 재료들을 버무려주세요 시식해보고 쓴맛이 있다면 설탕을 조금 더 넣어주세요
▼ 김치 버무리기
▶ 김칫소를 절인 배추에 바르듯 묻혀주세요 속까지 묻혀주세요. 잎사귀 쪽은 얇아서 잘 배기니깐 안쪽으로 잘 발라주세요
▶ 그다음 배추를 꾹꾹 눌러주세요.
▶ 바깥 배춧잎으로 배추를 감싸주시고 김치통에다가 넣어주세요 ( 틈이 생기지 않게 김치를 잘 담아주세요)
▼ 보관 방법
① 보관 기간이 길다면 맨 위에 소금을 뿌려주세요
② 김치통에 묻은 양념은 꼭 닦아주세요
③ 빨리 드시려면 실내에다가 하루정도 익힌 후에 다음날 김치냉장고에 넣어주시면 됩니다.
④ 오래 두고 드시려면 바로 김치냉장고에 넣어주시면 됩니다.
출처 : 백종원의 쿠킹로그